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생활정보901

2023 의료급여 소득기준 및 재산 기준 안녕하세요. 오늘은 의료급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의료급여란?질병·부상·출산 등으로 생활유지 능력이 없거나 생활이 어려운 저소득 국민의 의료문제를 국가가 보장하는 공공부조제도로서 건강보험과 함께 국민 의료보장의 중요한 수단입니다. 2. 의료급여 지급 대상 의료급여 수급권자는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에 따른 수급자 1) 소득인정액 기준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40% 이하인 가구 2) 소득인정액 산정방식 · 소득인정액 산정방식 · 소득인정액 = 소득평가액 (실제소득 - 가구특성별 지출비용 근로소득공제) + 재산의 소득환산액 [(재산 - 기본재산액 - 부채) x 소득환산율] + 부양비(부양능력 미약 판정시) 소득평가액 및 재산의 소득환산액이 (-)인 경우는 0원으로.. 2023. 4. 11.
2023 주거급여 소득기준, 신청 방법 안녕하세요. 메디케어입니다. 오늘은 주거급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주거급여란 무엇인가요?소득인정액 기준 이하의 가구가 안정된 주거생활을 할 수 있도록 실제임차료, 유지수선비 등을 지원합니다. 2. 기준임대료란? 국가가 국민에게 최저주거기준에 해당하는 주택 임차료 수준을 지원한다는 의미로, 최저주거기준은 국민이 쾌적하고 살기 좋은 생활을 영위하기 위하여 필요한 최소 주거면적, 필수적인 설비의 기준, 구조‧성능 및 환경기준 등을 설정한 것입니다. 3. 주거급여 선정 기준기준 중위소득의 43% 근로능력여부, 성별, 연령 등에 관계없이 국가의 보장을 필요로 하는 대상으로 소득인정액(소득평가액+재산의 소득환산액)이 기준중위소득의 47% 이하인 가구를 대상으로 합니다. 가구단위 보장이 원칙이며, 필요.. 2023. 4. 11.
2023 생계급여 소득기준, 신청 방법 안녕하세요. 메디케어입니다. 오늘은 2023 생계급여 소득 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생계급여란 무엇인가요? 생계급여는 수급자에게 의복, 음식물 및 연료비와 그 밖에 일상생활에 기본적으로 필요한 금품을 지급하여 그 생계를 유지하게 하는 것을 말합니다(「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8조제1항). 2. 생계급여 대상 생계급여의 수급권자는 부양의무자가 없거나, 부양의무자가 있어도 부양능력이 없거나 부양을 받을 수 없는 사람으로서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생계급여 선정기준 이하인 사람을 대상으로 지급합니다. 3. 생계급여 기준 생계급여액은 생계급여 선정기준(생계급여최저보장수준)에서 가구의 소득인정액을 차감한 금액을 말합니다. * 생계급여액 = 생계급여 최저보장수준(대상자 선정기준) – 소득인정액 ※ 2023년도 생계.. 2023. 4. 11.
2023 국가장학금 소득분위 구간 안녕하세요. 메디케어입니다. 오늘은 2023 국가장학금 소득분위 구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한국장학재단 학자금 지원 소득분위 구간 바로가기 학자금 지원구간 경곗값 확인 | 학자금지원구간 | 장학금안내 | 한국장학재단 학자금 지원구간 경곗값 확인 학자금 지원구간 경곗값 매년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하는 기준중위소득과 연계하여 학기 단위로 경곗값이 조정되며, 학기별 학자금 지원구간 경곗값은 학자금 지원 www.kosaf.go.kr 목차 ㅁ 한국장학재단 바로가기 ★ 이미지를 클릭하면 이동합니다. ★ ㅁ 국가장학금 지원 대상 ✅ 한국장학재단 이자계산기 이자계산기 | 한국장학재단 portal.kosaf.go.kr 국가장학금Ⅰ유형(학생직접지원형) 지원대상을 설명하겠습니다. 1) 지원자격 대한민국 국적으로 국내 대.. 2023. 4.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