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1366 여성긴급전화 대상, 상담 방법, 서비스 내용 정리

by 메디케어 2023. 4. 8.
반응형

안녕하세요. 메디케어입니다. 오늘은 여성긴급전화 1366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1. 1366 여성긴급전화란?
가정폭력, 성폭력, 성매매, 스토킹 등으로 긴급한 구조 보호 또는 상담을 필요로 하는 여성들이 언제라도 전화를 통해 피해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전국적으로 통일된 특수전화 1366 을 365일 24시간 운영하여 여성인권을 보호하는 제도입니다.



2. 1366 여성긴급전화 이용 방법
1366번으로 전화하여 상담이 가능합니다.



3. 1366 여성긴급전화 지원 대상
가정폭력, 성폭력, 스토킹 등 여성폭력 피해자를 지원합니다.



4. 1366 여성긴급전화의 역할

1) 여성폭력 피해자에 대하여 신고접수 및 긴급상담, 관련 기관 시설과의 연계, 피해자에 대한 긴급구조를 지원합니다.

- 전문상담소(상담원)에 연계가 곤란한 야간・휴일 등 특정 시간에는 1차 긴급 
상담 후 다음 날 오전 전문상담소로 연계조치

- 폭력피해자에 대한 적절한 위기개입이나 상담활동, 긴급한 구조를 위해 112, 119 등의 연계조치, 관련 상담・의료・법률구조기관 또는 보호시설 등에 대한 정보제공 등 기타 폭력피해자가 요청하는 사항 등 폭력피해여성에 대한 찾아가는 현장상담 서비스 지원


2) 가정폭력 성폭력 성매매 스토킹 등 피해여성에 대한 긴급한 구조의 지원, 긴급피난처 피신 및 관련기관 연계 등을 위해 상담원이 현장에 출동하여 서비스 지원
  
- 현장상담 수요 발생 시 상담원은 2인 1조 출동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경찰이 동행하는 경우 등은 예외로 합니다.


- 현장 출동 후 상담종료 시(수기 또는 전산시스템을 활용하여) 상담일지 작성


3) 스토킹, 교제 폭력 피해자 등에 대한 긴급상담 및 임시보호 등 지원

- 긴급피난처 운영을 통해 가정폭력 등 여성폭력 피해자 및 동반가족에 대한 
임시보호(최대 7일), 숙식 및 정보제공 등 서비스 제공

※ 단, 교제폭력 피해자 등 다른 보호시설로 연계가 어려운 경우 30일까지 연장하여 보호 가능


4) 24시간 Hot-Line 운영

서비스 대상자에 대하여 365일 24시간 긴급상담 및 안내・보호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8시간 3교대 근무체계로 상담원 배치

※ 야간에는 2명 이상 반드시 배치하여 주간(9시 이후 ~ 18시 이전) ∙ 서비스 대상자와 다양한 서비스를 연결하는 긴급보호 기능을 수행합니다.

- 수신전화 회선을 5회선 이상 설치하며 상담 또는 연계기능을 빠른 시간 내로 완결하여 상시 긴급통화가 가능한 상태 유지

- 야간(18시 이후 ~ 9시 이전) ∙ 정보제공, 의료서비스 및 위기개입 서비스 등의 종합서비스 제공기능 수행

- 야간근무자가 없는 여성폭력 관련 상담소는 퇴근 시 상담전화를 「1366」에 
착신하도록 조치

- 긴급피난처 운영을 통해 가정폭력 등 피해자 및 동반자녀를 임시보호
(최대 7일*) 및 숙식제공 등 서비스 제공

* 단, 교제폭력 피해자 등 다른 보호시설로 연계가 어려운 경우 30일까지 연장하여 보호 가능

5) 긴급보호 조치
긴급 상황에 처한 피해자를 근거리 상담소, 보호시설, 112, 119 등으로 즉시 
조치될 수 있도록 관련기관에 대한 긴급연락망 구축 및 협조체계 유지

- 긴급피난 및 보호가 필요한 대상에 대하여 긴급보호 조치한 후 관련기관
(상담소, 복지시설, 112, 119, 행정기관, 수사기관, 병원 등)과 협조하여 계속
보호가 가능하도록 조치

- 위기상담, 긴급보호 등을 위한 초기지원체계 구축 및 피해자 지원시설, 경찰 등 관련기관과의 유기적인 연계를 통한 피해자 지원 강화 

 

 

 

5. 가정폭력 신고 방법

1366전화 외에도 가정폭력 신고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경찰서 방문: 신고자는 가까운 경찰서에 직접 방문하여 가정폭력 사실을 신고할 수 있습니다. 경찰서에서는 신고서를 작성하여 관련 부서로 송부하고, 신고자의 안전과 보호를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보건소 방문: 보건소에서도 가정폭력 신고가 가능합니다. 신고자는 보건소에 직접 방문하여 가정폭력 사실을 신고하고, 의료진과 상담사를 통해 심리적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법무법인, 법률지원센터 등 전문기관 방문: 가정폭력 신고 및 상담을 전문적으로 제공하는 법무법인, 법률지원센터 등의 전문기관을 방문하여 상담 및 신고를 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 신고: 정부에서 운영하는 가정폭력 신고 포털을 통해 인터넷으로 가정폭력 신고가 가능합니다. 이를 통해 익명으로 신고할 수 있으며, 전문 상담원이 상황을 파악하고 신고자의 안전과 보호를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은 방법을 통해 가정폭력 신고를 할 수 있으며, 신고자의 개인정보와 상황은 비밀로 처리됩니다. 가정폭력 피해자는 언제든지 신고 및 상담을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안전한 삶을 살아갈 수 있습니다.

 

 

6. 여성 대상 폭력의 유형

여성 대상 폭력에는 여러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들을 아래와 같이 나열할 수 있습니다.

가정 폭력: 가정 내에서 가해자인 배우자나 가족 멤버로부터 발생하는 신체적, 정서적, 경제적 폭력을 의미합니다.

성폭력: 성적 수치심, 강간, 성희롱 등의 형태로 발생하는 폭력을 의미합니다.

인신매매: 강제로 상대방을 성노예로 만들거나, 성적인 목적을 강요하여 상대방을 이용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디지털 폭력: 인터넷, 스마트폰 등 디지털 매체를 통해 가해자가 여성을 괴롭히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SNS 상에서의 욕설, 인터넷 스토킹 등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이러한 여성 대상 폭력들은 여성의 인권 침해를 일으키고, 심리적, 육체적, 경제적 등 다양한 피해를 초래합니다. 따라서 이를 예방하고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대처 전략과 효율적인 법적 조치가 필요합니다.

 

 

 

7. 가정 폭력의 유형

가정 폭력은 다양한 유형으로 나뉘어질 수 있습니다. 주요 가정 폭력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신체적 폭력: 신체적인 힘을 사용하여 상대방을 상처 입히거나 다치게 하는 행동입니다. 주로 구타, 폭행, 성폭력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정서적 폭력: 말이나 행동으로 상대방을 괴롭히거나, 정서적으로 상처를 입히는 행동입니다. 주로 욕설, 모욕, 협박, 고문, 강요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경제적 폭력: 상대방의 재산이나 돈을 빼앗거나, 상대방의 경제적 자유를 제한하는 행동입니다. 주로 돈 빼앗기, 자산 침해, 경제력 부족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성적 폭력: 성적 수치심, 성희롱, 강간, 성매매 등으로 상대방의 성적 자유를 침해하는 행동입니다.

사회적 폭력: 상대방을 사회적으로 고립시키거나, 타인에게 상처를 입히는 행동입니다. 주로 가족, 친구, 지인 등을 상대로 한 소문, 폄하, 비방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이러한 가정 폭력은 가해자의 성격, 배경, 가족 구성 등에 따라 유형이 다양하게 나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정 폭력 예방 및 대처를 위해서는 가해자와 피해자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며, 법적인 대처와 함께 상담 및 심리치료 등의 전문적인 지원이 필요합니다.


여성긴급전화 1336이 여성폭력 방지 및 피해자 지원을 위한 운영위원회 활성화 등 지역사회 안전망의 역할을 잘 수행하기를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