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도로가 갑자기 꺼지는 ‘싱크홀’ 사고 뉴스 자주 보셨죠?
“설마 우리 동네는 아니겠지~” 하고 넘기기엔 너무 가까이에서 일어나는 일이라, 진짜 걱정되더라고요.
그래서 서울시에서 발표한 ‘지반침하 특별점검 보고서’ 내용을 들여다봤어요.
자치구별로 싱크홀 위험 위치가 어느 정도 있는지, 생각보다 자세히 나와 있더라고요!
일부 자치구는 공개하지 않았다는 얘기도 있었는데...여기에는 다 나와 있던데요?
그리고 최근 강동구 싱크홀이 이 지도에서 위험 표시가 되었던 곳이어서, 이 보고서의 신뢰가 더욱 상승했습니다.
아래 파일을 클릭하시면 바로 다운받을 수 있어요.
목차
우리 동네 싱크홀 위험도, 이렇게 보면 돼요
급하신 분들은 여기를 확인하세요
서울시는 총 25개 자치구의 도로 구간 1,930km를 조사해서, 지하에 공동(빈 공간)이 얼마나 있는지 확인했대요. 이 공동이 나중에 싱크홀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요소거든요.
강남구: 65개 공동 발생 (서울에서 가장 많았어요!)
서초구: 25개 공동
광진구: 28개 공동
서대문구: 20개 공동
👉 이 지역은 도로 아래 빈 공간이 많아서 상대적으로 위험하다고 보면 될 것 같아요.
반면에,
동대문구, 양천구, 금천구는 이번 점검에서는 특별한 이상이 발견되지 않았다고 해요.
(그래도 안심은 금물! 앞으로 점검 계획이 또 있으니 계속 지켜봐야겠죠?)
자치구별 상세 위치는 어디서 확인하나요?
서울시에서는 이 내용을 아주 자세히 정리해서 PDF 보고서로 공개했어요.
보고서엔 자치구별로 “어느 도로에서 몇 개의 공동이 발견됐는지”까지 정리되어 있답니다.
📄 서울시 지반침하 특별점검 보고서 보기
서울시 홈페이지 또는 서울시 토목안전과 문의 (※ 따로 공개 링크가 없다면 '서울시 지반침하 보고서 2024'로 검색해보시면 됩니다)
주민으로서 느끼는 점
실시간 최신 정보
아이들 등하교길이나, 시장 볼 때 다니는 골목이 혹시라도 위험하지 않을까 싶어서 더 예민해지더라고요.
도로에 이상하게 움푹 꺼진 곳이 있다면 안전신문고에 바로 신고해보는 것도 필요하겠어요.
무엇보다 서울시도 점검을 계속 하고 있으니, 우리가 사는 동네 상황을 관심 있게 지켜보는 게 중요하겠죠?
우리 동네 싱크홀 위험, 이렇게 신고하고 확인해요!
혹시 “우리 동네 이 도로, 평소보다 꺼져 있는 것 같아…” 하는 느낌 드신 적 있으세요?
그럴 땐 그냥 지나치지 마시고 아래 방법대로 꼭 확인하거나 신고해보세요.
✅ 1. 서울시 다산콜센터(☎ 120) 이용하기
서울 전 지역의 위험 신고와 문의를 한 번에 처리해주는 대표 창구예요.
“우리 집 앞 도로가 꺼진 것 같은데요…” 하고 말하면 관련 부서에 연결도 해줘요!
✅ 2. 각 자치구 도로과 또는 안전건설과 문의
서울시는 자치구별로 ‘도로관리 담당 부서’가 따로 있어요.
전화하면 대부분 친절하게 안내해 주세요. 특히 최근엔 주민 제보도 중요하게 반영한다고 하네요!
✅ 3. 구청 홈페이지 ‘불편신고’ 메뉴 활용
대부분의 구청 홈페이지에는 생활불편 민원신고 메뉴가 있어요.
사진 첨부도 가능해서 도로 꺼짐이나 금이 간 사진을 찍어 올리면 보다 빠르게 대응받을 수 있어요.
살다 보면 도로가 갑자기 꺼진다는 게 영화 같은 일이잖아요.
그런데 이게 우리 일상이 될 수도 있다니, 미리미리 알고 대비하는 게 가장 현명한 방법인 것 같아요.
혹시라도 “우리 동네 도로 상태 이상하다!” 싶을 때는 절대 혼자 고민하지 마시고, 꼭 서울시나 구청에 문의해보세요.
내 가족과 이웃의 안전, 작은 관심에서 시작됩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사 기도문 모음 (0) | 2025.04.28 |
---|---|
농협 점검시간 체크카드 언제 못 쓰는지 알아두세요! (0) | 2025.04.28 |
SKT 유심 보호 서비스 신청 방법 (0) | 2025.04.26 |
임대인배상보험으로 누수 피해 보상받은 찐 후기 (0) | 2025.04.24 |
자동차 정기검사 소요시간 알아보자 (0) | 2025.04.20 |
경북 산불 재난지원금 (0) | 2025.04.20 |
불스원샷 사용 주기 (0) | 2025.04.19 |
현대모비스 부품몰 홈페이지 바로가기 (0) | 2025.04.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