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인에게 맞는 신용카드와 체크카드 사용의 황금비율을 알려드립니다.
소득공제만 고려하면 체크카드가 유리
신용카드, 체크카드 등 결제수단에 따라 소득공제율이 다르므로 소득공제만 고려하면 공제율*이 높은 체크카드 등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공제율 * 신용카드 : 15%, 체크카드・현금영수증 : 30%
혜택 많은 신용카드
연회비를 부담하는 신용카드의 경우 통상 체크카드보다 부가서비스 혜택이 많고, 신용카드 소득공제에는 최저사용금액과 최대공제한도액이 있는 만큼 본인에게 맞는 신용카드와 체크카드 사용의 황금비율을 찾아 사용한다면 경제적 혜택을 더 많이 누릴 수 있습니다.
2022.02.08 - [라이프/경제와 재테크] - 카드 포인트 통합 조회하고 현금으로 받으세요
카드 포인트 통합 조회하고 현금으로 받으세요
카드를 열심히 쓰다 보면 포인트가 쌓입니다. 그런데 카드사마다 흩어져 있는 포인트를 일일이 사용하긴 쉽지 않죠. 각각 어플을 다운받아 로그인하고 사용하는 과정은 시간도 많이 걸리고 번
dayuk0919.tistory.com
신용카드 혜택을 받는 것이 유리한 경우
예를 들어, 본인의 신용카드 사용금액이 최저사용금액 (총급여액의 25%)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되거나
이미 최대공제한도액(300만원, 총급여액 7,000만원 이하시)을 초과했을 경우에는 체크카드 대신 부가서비스 혜택이 있는 신용카드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한편, 신용카드 사용금액이 최저사용금액을 초과하고 최대 공제한도액 이내라면 통상 체크카드로 결제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2022.02.24 - [IT] - 알뜰폰 요금 비교 검색하는 법
알뜰폰 요금 비교 검색하는 법
알뜰폰이 도입된 지 11년 만에 가입자가 1천만 명을 돌파했다고 합니다. 무엇보다 저렴하다는 게 알뜰폰의 강점인데, 앞으로 요금이 더 낮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알뜰폰 통신사가 참 많은데, 어
dayuk0919.tistory.com
직장인 김승기(35세, 가명) 사례
직장인 김승기(35세, 가명)씨는 그간 신용카드보다는 체크카드를 사용하는 것이 소득공제에 유리하다는 사실을 어렴풋이 알고 체크카드를 주로 사용하였으나, 연말정산 고수로 알려진 세무사 이지원(35세, 가명)씨로부터 신용카드와 체크카드 사용에 있어 황금비율이 있다는 구체적인 조언을 들은 후부터는 본인의 급여액과 예상 카드 사용금액을 감안한 황금비율에 따라 카드를 사용하였습니다.
금융감독원 통합홈페이지
금융감독원 통합홈페이지.
www.fss.or.kr
'경제와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갑과 함께 카드를 몽땅 잃어버렸다면 '이렇게' 하세요 (0) | 2022.06.18 |
---|---|
신용카드 한도 상향 가능한 경우 알아봅시다 (0) | 2022.06.18 |
신용카드를 교체하거나 재발급했다면 '이것' 잊지 마세요 (0) | 2022.06.18 |
내 카드 포인트 잘 이용하는 방법 (0) | 2022.06.17 |
맞벌이 부부는 카드를 몇 개 만드는 게 유리할까요? (0) | 2022.06.17 |
정부 진행 "숨은 금융자산 찾아주기" 조회 신청 (0) | 2022.06.17 |
미니스탁에서 해외 주식 무료로 받는 방법 (0) | 2022.06.03 |
현대백화점 리사이클 캠페인으로 5000포인트 받기 (0) | 2022.05.27 |
댓글